2025/07/04 3

중동 여행 중 채식 메뉴가 없을 때 대처법

채식주의자로서 중동을 여행한다는 것은 음식 선택에서의 자유와 동시에 한계를 함께 마주하는 여정이다. 중동은 수천 년의 음식 문화를 바탕으로 풍부한 향신료, 신선한 채소, 콩류를 사용한 요리가 많지만, 현실적으로는 대부분의 식당에서 고기 중심의 식단이 기본이다. 특히 지역에 따라 채식이라는 개념 자체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거나, 단순히 고기를 빼는 것이 채식이라고 생각하는 문화적 차이로 인해 의도하지 않게 동물성 식재료가 포함된 음식을 제공받는 경우가 발생한다. 대도시의 고급 레스토랑이나 외국인을 주 대상으로 하는 관광지에서는 비교적 쉽게 채식 식사를 찾을 수 있지만, 지방 도시나 시골 지역, 또는 전통시장 주변의 식당에서는 채식 메뉴 자체가 아예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때 채식주의자가 맞닥뜨리는 문제..

중동 현지 마트에서 채식 식재료 구매하는 팁

중동 지역에서 채식 식단을 유지하고자 할 때 가장 먼저 마주치는 과제는 현지 마트에서 식재료를 어떻게 고르고, 어떤 기준으로 선택해야 하느냐는 문제다. 한국이나 서구권처럼 채식이나 비건 식품이 별도의 섹션으로 구분된 매장이 흔치 않기 때문에, 현지에서의 식자재 구매는 예상보다 더 복잡하고 까다로운 과정이 될 수 있다. 특히 병아리콩, 렌틸콩, 타히니, 향신료 등 중동 채식 식단에 필수적인 재료는 그 자체로는 친숙하지 않더라도, 현지 식문화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올바르게 이해하고 접근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불어 중동 국가들 간에도 마트의 구조, 제품 구성, 식문화의 차이는 분명하게 존재한다. 두바이와 같은 글로벌 도시에서는 수입 비건 제품도 흔히 볼 수 있지만, 사우디아라비아나 오만의 지..

중동 채식 레스토랑 이용 후기: 실제 경험 기반 평가

중동 지역은 전통적으로 육류 소비가 많은 식문화로 알려져 있다. 많은 이들은 중동 여행을 계획하면서 채식이나 비건 식단을 유지하기가 매우 어렵다고 느끼곤 한다. 실제로 일부 지역에서는 채식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거나, 채식주의자가 고기를 일시적으로 안 먹는 사람 정도로 이해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인식은 점차 바뀌고 있으며, 특히 국제도시를 중심으로 채식주의자를 위한 식당이 확산되고 있는 추세다. 나는 2024년 말부터 2025년 상반기까지 아랍에미리트(UAE), 요르단, 레바논, 사우디아라비아의 주요 도시를 순차적으로 여행하며 현지의 채식 레스토랑을 다수 방문했다. 이 경험은 단지 음식을 소비하는 행위에 그치지 않고, 문화와 언어, 가치관이 교차하는 지점에서의 실질적 식생활 경험으로 확장되었다. 이 ..